본문 바로가기

대한예수교장로회

교회를 친구 따라간다고? 비리, 세습에 얼룩진 공포의 사이비 대한예수교장로회 한국 사회에서 개신교는 오랜 시간 동안 신앙 공동체로 자리 잡으며 많은 이들에게 영적 위로와 삶의 방향을 제시해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대한예수교장로회를 비롯한 주요 교단에서 나타난 여러 문제들은 이러한 이상적인 모습과는 거리가 있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교회 세습, 재정 운영의 불투명성, 권위주의적 운영, 그리고 도덕적 문제들은 교회가 더 이상 신뢰받기 어려운 공간으로 느껴지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특정 교회나 목회자의 문제를 넘어, 교단 전반에 걸친 구조적인 문제임을 시사합니다.1. 세습 문제 – 교회의 공공성을 위협하다세습 문제는 특정 교회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한국 개신교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는 구조적 문제입니다. 세습은 교회의 공공성을 훼손할 뿐 아니라, 신앙 공동체가.. 더보기
한국 개신교 단체, 범죄 문제가 많은 예장과 감리회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와 기독교대한감리회(감리회)는 한국 개신교를 대표하는 주요 교단으로서 신앙과 도덕의 중심지 역할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최근 성범죄와 부패 사건이 끊이지 않아 사회적 신뢰를 크게 상실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신앙 공동체로서의 책임을 다해야 함에도, 지도자들의 범죄와 교단 차원의 책임 회피로 인해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끊이지 않는 범죄와 무너진 신뢰기독교대한감리회에서는 한 담임목사가 여성 신도 24명을 대상으로 그루밍 성범죄를 저질렀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큰 충격을 안겼습니다. 피해자 중에는 미성년자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들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라는 가스라이팅을 통해 범죄를 당했습니다. 일부 피해자들은 심각한 스트레스로 유산까지 경험하는 등 .. 더보기
개신교는 사이비다. 잘못된 믿음을 가지는 사람들 현대 사회에서 개신교, 특히 한국의 개신교에 대해 사이비적인 특성을 가진 집단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는 것은 단순한 비판을 넘어 중요한 문제를 다루는 논의입니다. 이는 종교적 차원의 논란을 넘어, 개신교 내부의 구조적 문제와 그로 인해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기반으로 한 지적입니다. 특히, 교회 내에서 발생하는 성폭력 문제와 이에 대한 교단의 대응은 개신교가 종교적 권위라는 외피 아래 권력 유지와 자기 보호를 위해 비윤리적 행태를 방조하고 있다는 심각한 문제를 보여줍니다. 교회 내 성폭력은 오랜 기간 이어져 온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큰 변화의 계기가 된 미투 운동 이후에도 제대로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교회 권력 구조와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피해자들의 용기 있는 고발과 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