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원주민 학살로 드러난 교회 인권 침해

 

 

가톨릭교회와 식민주의

가톨릭교회는 오랜 세월에 걸쳐 유럽 제국의 식민지 건설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해 왔다. 15세기부터 20세기까지 이어진 유럽 열강의 확장 과정에서 교황청과 가톨릭 성직자들은 종교적 정당성을 제공하며 식민지 지배에 협력하였고, 이로 인해 토착 주민들의 인권 침해 사례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원주민 다수는 삶의 터전과 문화를 상실하고 전쟁과 노예화 등의 피해를 입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은 오늘날에도 여러 지역에서 논의되고 있으며, 과거의 행위에 대한 교회의 책임과 반성 요구가 지속되고 있다.


교황청의 식민지 승인과 ‘발견의 원칙’

1492년 콜럼버스의 신대륙 도착 이후, 교황청은 유럽 국가들의 식민지 확대 과정에 관여하였다. 교황 니콜라오 5세는 Dum Diversas(1452)와 Romanus Pontifex(1455)를 통해 비기독교 지역에 대한 정복과 주민 노예화를 허용하는 내용을 담은 칙서를 발표하였다. 이어 1493년 교황 알렉산데르 6세는 Inter Caetera를 통해 스페인과 포르투갈 간의 신대륙 영토 분할을 승인하였다. 이러한 교황청의 입장은 유럽 식민주의자들에게 종교적 정당성을 부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발견의 원칙(Doctrine of Discovery)’은 이 같은 교황청 칙서들을 기반으로 형성되었으며, 국제법적으로 토착민의 영토 권리를 제한하는 근거로 작용하였다. 유럽 열강은 이를 근거로 비기독교 지역을 정복하고 식민 통치를 강화했으며, 19세기 미국 대법원도 이를 판결의 논리로 인용한 바 있다.


원주민 피해와 문화 훼손

스페인과 포르투갈 정복자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한 이후, 전쟁, 강제 노동, 전염병 등으로 다수의 토착민이 사망하였다. 특히 천연두와 같은 전염병의 확산은 인구 감소의 주요 원인이었으며, 정복자들의 착취와 무력 행사는 이와 같은 피해를 더욱 심화시켰다. 가톨릭 성직자들은 일부 경우에 개종을 강제하거나 거부자에게 처벌을 가하기도 했다. 반면,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와 같은 일부 성직자들은 식민지 정책을 비판하고 인권 침해 사례를 기록으로 남기기도 하였다.

가톨릭교회의 초기 칙서는 비기독교인의 노예화를 묵인하거나 정당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아프리카와 아메리카 원주민의 대규모 노예화가 진행되었다. 일부 수도회는 식민지 농장에서 노예 노동을 활용한 사례도 존재한다. 또한 선교사들과 정복자들은 토착 종교와 문화를 ‘이교도적’으로 간주하고, 언어와 전통을 억제하는 동화 정책을 시행하였다.


기숙학교 사례와 지속된 영향

19세기부터 20세기까지 북미 지역에서는 원주민 아동들을 강제로 기숙학교에 보내는 정책이 시행되었으며, 이 중 상당수가 가톨릭 교회의 운영 아래 있었다. 캐나다와 미국에서 약 150,000명의 원주민 아동이 이들 학교에 수용되었고, 언어와 문화 금지, 체벌, 신체적·성적 학대 사례가 보고되었다. 정확한 사망자 수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2021년 캐나다에서 집단 매장된 아동 유해가 발견되며 사회적 논란이 촉발되었다. 이후 프란치스코 교황은 캐나다를 방문하여 유감을 표명했으나, 실질적 보상은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관련 보도들은 피해자 관점과는 거리가 있는 연민 중심의 서사로 비판받기도 하였다.


현재의 논의와 유산

현재에도 과거 식민지 시대의 행위에 대한 반성과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존재한다. 캐나다 원주민 단체는 15세기 교황 칙서의 폐지와 토지 권리 회복을 요청하고 있으며, 선교사 동상 철거 등 역사 인물에 대한 재평가도 진행 중이다. 일부 국가는 교회가 보유한 과거 취득 재산의 반환을 주장하고 있으며, 가톨릭 내부에서도 포용적 사목과 문화 존중의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2019년 아마존 시노드에서도 이와 같은 논의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만으로는 오랜 시간 누적된 피해를 해소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평가도 있으며, 이에 대한 공적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