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동 성학대 은폐한 가톨릭 교회의 역사

출처 : 요한 바오로 2세 전 교황과 시어도어 매캐릭 전 추기경(오른쪽). AP/연합뉴스. “요한 바오로 2세·베네딕토 16세, 미 추기경 성학대 의혹 방관” 교황청, 매캐릭 전 추기경 사건 관련 2년만에 진상보고서 공개 의혹 다루는 과정서 실수 인정…“고의적 은폐는 없었다” 부인

 

 

 

전 세계로 확산된 조직적 아동 성범죄

가톨릭 교회 내 아동 성범죄는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닌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사례로 나타났다. 2002년 미국 보스턴에서 시작된 성직자들의 아동 성추행 사건은 유럽, 호주, 남미 등에서도 장기간 지속된 성범죄와 조직적 은폐 양상이 반복된 것으로 드러났다. 성직자에 의한 아동 성범죄는 오랜 기간 수면 아래 숨겨졌으며, 피해 규모는 국가를 가리지 않고 광범위했다. 프랑스의 독립조사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70년 동안 약 33만 명의 아동이 성직자에 의해 학대당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가해자의 약 80%는 남자 어린이를 대상으로 했다. 보고서는 이 범죄가 조직적으로 은폐되었으며, 교회가 오랜 기간 신도들의 신뢰를 이용해 다수의 피해자를 양산한 사실을 확인했다.

주요 사례와 피해 규모

2018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대배심의 보고서에 따르면, 6개 교구에서 300명이 넘는 성직자가 1,000명 이상의 아동에게 수십 년간 성폭행 또는 추행을 저지른 사실이 밝혀졌다. 이들 사건 대부분은 공소시효가 지나 형사 처벌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일부 가해자는 미성년자를 임신시켜 낙태를 유도하거나, 7세 아동을 강간한 사실을 자백했음에도 불구하고 내부 전보 조치로 대응되었다. 보고서는 이러한 학대가 특정 지역의 예외적 사건이 아닌 전 세계 가톨릭 교회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한 문제였음을 명시했다. 아일랜드에서는 194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수만 명의 아동이 성직자와 수도자에게 학대당했으며, 호주에서는 사제의 7%가 아동 성범죄에 연루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호주 교회는 2017년까지 피해자 수천 명에게 약 2억7천만 달러의 합의금을 지급하며 사건을 은폐하려 한 정황도 드러났다.

교회 내 은폐 및 책임 회피 방식

가톨릭 교회 지도부는 성직자의 범죄를 외부에 알리기보다 문제를 숨기고 내부적으로 전보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조사에 따르면, 교회는 피해자 보호나 정의 실현보다 교회의 명예 유지를 우선시했다. 아일랜드 더블린 교구 조사보고서는 교회가 비밀 유지, 스캔들 회피, 자산 보호에 집중한 반면, 피해자 복지와 정의 구현에는 소홀했다고 밝혔다. 바티칸은 1997년 아일랜드 주교들의 경찰 보고 의무화 시도에도 이를 저지했으며, 이는 교황청 고위층도 조직적 은폐에 연루되었음을 시사한다. 일부 고위 성직자는 성추행 신고를 하지 않은 사실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집행유예로 끝났고, 여전히 성직자를 감싸는 태도를 보였다. 이 과정에서 바티칸 주요 인사들이 가해자를 옹호한 정황도 확인되었다.

가해자에 대한 처벌 실태

가해 사제에 대한 교회의 대응은 대체로 미온적이었다. 많은 경우 가해자는 승진하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되었고, 사법 처벌 없이 사건이 마무리되었다. 아일랜드에서는 2011년까지 형사처벌을 받은 가해 성직자가 6명에 불과했으며, 미국에서도 대부분의 사건이 공소시효 만료 또는 증거 부족으로 기소되지 못했다. 유엔 인권 보고관들은 2021년 바티칸이 여전히 사법 절차에 협조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교회의 책임 회피와 은폐 시도를 비판했다. 이는 교회가 법적 심판을 받지 않는 특권 집단처럼 행동하고 있다는 평가로 이어졌다.

피해자 증언과 교황청의 대응

피해 생존자들은 자신이 겪은 성폭행과 교회의 은폐를 사회에 알리며, 신앙과 인간에 대한 근본적 신뢰가 파괴되었다고 증언했다. 프랑스 피해자 단체는 이를 "신뢰와 도덕, 아동의 순수성에 대한 배신"으로 규정했다. 교황청은 뒤늦게 문제의 심각성을 인정하고 공식 사과와 대책을 발표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2001년 성학대 문제를 언급했고, 베네딕토 16세는 피해자들을 면담했다. 교황 프란치스코도 2018년 사과를 발표하고 세계 주교단 회의를 소집했으나, 실질적인 변화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지속되고 있다. 피해자들은 진정한 개혁을 위해 가해자 처벌과 정보 공개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도덕적 권위 약화와 교회의 쇠퇴

수십 년간 이어진 성범죄와 그에 대한 교회의 대응은 가톨릭 교회의 도덕적 권위를 심각하게 훼손했다. 아일랜드에서는 주말 미사 참석률이 1970년대 90%에서 2016년 36%로 급감했고, 미국에서도 가톨릭 신자의 37%가 성범죄 스캔들로 인해 교회 이탈을 고려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젊은 세대는 교회를 더 이상 신뢰하지 않고 있으며, 이는 교회의 급속한 세속화와 쇠퇴로 이어지고 있다. 교회가 진실과 정의보다 조직의 체면과 권력을 우선시한 결과, 대중의 신뢰 회복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추문은 가톨릭 교회 쇠퇴의 직접적 원인이 되었으며, 더 이상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