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교황! 청각장애 아동 성폭력 사건 마저 은폐하다.
이탈리아에서 아르헨티나로 이어진 가톨릭 성직자 성폭력 사건
미국에서 드러난 가톨릭 성직자의 아동 성범죄는 비교적 널리 알려져 있으나, 그 외 지역에서도 교회가 조직적으로 은폐한 사건들이 존재한다. 그중 하나는 안토니오 프로볼로 청각장애인 학교에서 발생한 성폭력 사건이다.
해당 사건은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이후 아르헨티나로 이어졌으며, 수십 년간 청각장애 아동들이 성직자들에 의해 성폭력과 학대를 당한 사례로 확인되었다. 이탈리아 북부 베로나의 프로볼로 농아학교 졸업생 67명은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사제들과 수도사들로부터 반복적인 성적 학대와 폭력을 겪었다고 진술했다. 피해자들은 교회 내부에서 협상을 시도했으나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자 2009년 집단으로 폭로에 나섰고, 이 중 14명은 자신들에게 가해를 가한 성직자 24명의 명단을 제출했다.
해당 명단에는 이탈리아 출신 니콜라 코라디 신부도 포함되어 있으며, 그는 1970년대 이후 아르헨티나로 건너가 자매 학교에서 아이들을 돌봤던 것으로 확인됐다. 코라디 신부와 아르헨티나 국적의 호라시오 코르바초 신부는 200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까지 아르헨티나 멘도사의 프로볼로 청각장애인 학교에서 유사한 범죄를 저질렀고, 2016년 말 경찰에 의해 체포되었다.
2019년 아르헨티나 법원은 코라디에게 징역 42년, 코르바초에게 징역 45년을 각각 선고하며 범죄 사실을 인정했다. 이 사건은 두 대륙에 걸쳐 오랜 시간 조직적으로 은폐된 채 지속되었으며, 외부에 뒤늦게 공개되었다.
교회의 은폐 정황과 대응
본 사건에서 주목되는 점은 교회 조직의 은폐와 소극적 대응이다. 피해자들이 주교를 상대로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하며 구체적인 증거를 제출하자, 바티칸은 2010년에 조사에 착수했으며 이탈리아 법관 마리오 산니테가 조사관으로 임명되었다.
산니테는 피해자들과 수개월간 면담한 뒤 대부분의 주장은 신빙성이 있다고 판단했으나, 코라디 신부를 지목한 증언에 대해서는 의심을 제기하며 코라디를 지목한 피해자가 너무 많은 가해자를 언급했다는 이유로 신뢰도를 낮췄다. 결과적으로 바티칸에 제출된 최종 보고서에는 피해자들이 지목한 24명 중 단 5명만 교회 징계를 받았고, 코라디는 징계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징계받은 성직자들 또한 아이들과 떨어져 지내라는 비교적 경미한 처분을 받는 데 그쳤으며, 교회는 다수 가해자에 대한 실질적 조치를 취하지 않고 사건을 축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르헨티나 현지 대응
아르헨티나 교회 또한 유사하게 침묵과 방관으로 대응했다. 이탈리아 피해자들은 2014년 10월 교황 프란치스코 및 베로나 교구에 공동 서한을 보내, 여전히 활동 중인 성직자 14명의 명단을 전달하고 이들이 아르헨티나에서 사역 중임을 경고했다. 그러나 바티칸은 즉시 회신하지 않았으며, 2년 후 프란치스코 교황의 측근인 안젤로 베추 대주교가 원론적인 답변을 보냈을 뿐이었다. 이에 따라 아르헨티나 멘도사 교구는 코라디의 과거 범죄 경력을 인지하지 못한 채 그를 받아들였다고 해명했다.
결국 2016년 아르헨티나 경찰이 학교를 급습해 가해 성직자들을 체포한 이후에야 바티칸은 조사를 시작했다. 이후에도 프란치스코 교황은 해당 사건에 대해 공식 사과나 입장을 거의 표명하지 않았고, 코라디 체포에 대한 바티칸의 언급은 없었다. 이로 인해 교회의 내부 고발과 경고가 무시된 반면, 세속 당국의 개입으로 사건이 중단되었다는 평가가 제기되었다.
사건의 본질과 평가
“교회는 그들을 비참하게 저버렸고, 교황은 외면했으며, 결국 경찰이 대응했다”는 표현은 이 사건의 본질을 요약한다. 코라디 신부는 2009년부터 위험 인물로 알려졌으나, 교회의 방치로 인해 약 10년간 추가 범행이 가능했다. 사건의 장기화는 교회의 책임 회피와 정보 공유 부족 등 구조적인 결함이 원인으로 지적된다.
해당 사건은 도덕과 신뢰를 표방하는 조직이 실질적으로는 권위와 이미지를 보호하기 위해 피해자의 고통을 오랜 기간 외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로 평가된다.